제목 : 이기적 유전자
지은이 : 리처드 도킨스
출판사 : 을유문화사
읽게 된 동기 :
이기적 유전자, 제목을 통해 봤을 때 내가 과학시간에 배운 것은 유전자는 그 |
저 유전자였다. 하지만 이기적 유전자라는 것이 실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 |
책이 생겨난 것인지, 아님 어떤 이유 때문에 이기적 유전자라는 제목이 생겨 |
난 것인지 호기심이 생겨 이 책을 읽어볼 수 밖에 없었다. |
책의 주요 내용 :
‘이기적 유전자’의 저자인 리처드 도킨스는 지구의 진짜 주인은 유전자이며, |
인간은 유전자를 보관하고 운반하고 전송하는 생존 기계일 뿐이라고 설명했 |
다. 사람을 비롯한 모든 동물은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졌으며, 태초에는 단순 |
함 밖에 없었다. 단순한 화합물이 복잡한 화합물이 되어 분자가 생기고 이러 |
한 분자가 우연히 자가 복제를 하게 되고, 자가 복제중 오류로 인해 다른 분 |
자가 생겨 또다시 자가 복제를 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다양한 분자가 만들어 |
진 것이며, 그 과정에서 서로 경쟁하고 비슷한 분류들 끼리 모여 스스로 방어 |
하기 위해 새로운 기계인 인간, 동식물, 박테리아 그리고 바이러스를 만들었 |
다고 전했다. 이 과정에서 유전자가 내놓은 최선의 대책인 진화적으로 안정한 |
전략(ESS)를 통해 우리 기계는 종이 달라도 유전자를 지키고 전송하고 운반 |
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있다고 한다. 예를 들어, 어머니의 무조건적인 사랑 |
도 자신의 유전자를 지키기 위해 자식의 생존 능력을 길러 자신의 유전자를 |
번식시킬 것이기 때문에 돌보는 것이라고 한다. 이 과정에서 우리가 우리의 창조자인 유전자에게 대항할 힘이 우리 인간에게만 있다고 생각하는, 인간의 또 다른 자기 복제자인 밈이 생겨났다. |
느낀 점 :
이기적 유전자가 특정한 유전자를 말하는 것이 아닌 모든 유전자를 통틀어서 |
말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, 우리가 그것을 지켜줄 단순한 기계라는 |
것, 엄마의 사랑이 그저 유전자의 프로그래밍 때문이라는 것이라고 생각하니 |
세상 모든 것이 다 프로그래밍일 수도 있다는 생각과 함께 두려워지기 시작 |
했다. |